오늘은 MSSQL 2022 설치를 진행해보겠습니다.
우선 설치 파일은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링크 : https://www.microsoft.com/ko-kr/sql-server/sql-server-downloads)
실습 목적이므로, 개발자 환경을 다운로드 해준 뒤, MSSQL 2022 에 맞는 Window Server OS 를 준비해줍니다.
호환이 가능한 Window Server OS 는 동일하게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습 환경은 Window Server 2022를 사용하겠습니다.
참고) Window Server 2022 iso 파일 역시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이 가능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evalcenter/download-windows-server-2022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를 진행했다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의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을 겁니다.
더블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해줍시다.
클릭시 아래와 같이 선택하는 구간이 나오는데 Basic 을 선택해줍니다.
임시 라이선스 관련 안내창이 나옵니다. 설치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Accept 를 클릭해줍니다. (환경이 영문인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경로를 설정해주고, 저는 디폴트 경로로 설정하였습니다. 다른 경로를 설정하고 싶다면 Browse를 클릭하여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설치 정보들이 나옵니다. 여기서 Connect Now를 클릭하시면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바로 SQL Server 가 연결되지만, 저는 SSMS 라는 Microsoft 가 제공하는 SQL Server 통합 개발환경 툴을 사용 할 예정입니다. install SSMS를 클릭해줍니다.
그럼 링크로 바로 연결이 될텐데, 여기 링크에서 SSMS를 다운받아주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설치 파일이 생성 될 것이고, 클릭하여 Install을 진행하면 됩니다. (경로는 수정해도 무방합니다.)
설치하여 최초로 접속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로그인 창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Encryption 은 암호화 방식 즉, Optical 은 기본값으로 선택적으로 암호화가 적용되는 옵션이고 Mandatory는 강제로 TLS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라는 옵션입니다. 따로 설정해주지 않았으니 Optical (선택적) 을 클릭하고 로그인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모습입니다.
오늘은 MSSQL 2022 버전을 설치해보았는데, 확실히 친숙한 UI 로 설치가 타 DBMS 에 비해 비교적으로 간단합니다.
하지만, Always On 구성,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 심화적인 부분은 이해하기에 충분히 어려워 많은 공부가 필요하게 됩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설치 된 테스트 서버를 바탕으로 SQL Server 실행 / 중지 여부와 주요 파라미터를 알아보고 실습해보겠습니다.
'Database | SQL | OS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SQL Always On 설치 가이드 - 2 (5) | 2025.01.21 |
---|---|
MS SQL Always On 설치 가이드 - 1 (3) | 2025.01.20 |
MSSQL Always On 구성이란? (5) | 2025.01.16 |
MSSQL 2022 Lock Test (2) | 2025.01.07 |
MSSQL 주요 시스템 프로시저에 대하여 (7) | 2025.01.06 |